깃허브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https://github.com/에 가입을 해야한다.
가입을 했다면, repository를 추가해보자.
초록색 New버튼을 클릭하면 repository를 추가할 수 있다.
Repository name은 본인 마음대로 설정한다. 나중에 깃허브 페이지 주소의 일부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은 Repository에 대한 설명을 적어주면 된다. 귀찮으니 적지 않는다.
그리고, Public에 체크를 해줘야한다.
마지막 README 파일을 만들건지 말건지 체크해준다.
초록색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주면,
Repository 만들기 성공 ! 위의 파란색 칸 부분에 https://github.com/~~~.git 부분을 복사해준다. (기억하고 있기)
이제 소스를 repository에 올려본다.
나는 atom에디터를 사용해 깃허브를 연동해보았다.
컴퓨터에 깃(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겠죠?
atom을 열고 오른쪽 하단에 Git 부분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해서
소스를 저장할 폴더를 지정하고 init 버튼을 눌러준다.
그리고, 해당 폴더로 들어가서 Git 설정을 해준다.
해당 폴더 들어가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Git Bash Here을 선택한다.
차례대로 입력해준다.
git config user.name 깃허브 name
git config user.email 깃허브 email
git remote add origin 아까 위에서 복사한 주소
git remote -v
git add 커밋할 파일 아무거나 (*이때 처음 커밋은 꼭 해줘야합니다.)
git commit -m "코멘트 메세지 아무거나"
git push -u origin master
위의 순서대로 입력해주면 atom에서 만든 폴더에 깃 연동 성공 !
깃허브사이트로 들어가서 repository에 제대로 커밋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git push -u origin master 커멘드 오류가 발생했다면(Permission to ~~~ denied to 원래 아이디) 아래 글을 참고해보자.
https://trea-sure.tistory.com/2
[Git]Permission to ~ denied to 기존 아이디 해결방법 (windows 자격 증명)
테스트용 깃허브 아이디를 만들고 푸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원래 쓰던 깃허브 아이디가 등록되어 있어서 새로만든 깃허브 아이디에 푸쉬권한이 없다고 뜬다. Permission to ~ denied to 이�
trea-sure.tistory.com
이제 깃허브 페이지 세팅을 해보자.
이전에 만든 Repository에 들어가면 우측 상단 부분에 톱니바퀴 모양의 Settings가 있다.
Settings페이지에서 아래로 쭉 내려보면 깃허브 페이지에 관련된 부분이 나온다.
docs 폴더를 생성해서 거기에 index.html 을 포함한 소스를 넣어준다. 그리고 atom에서 다시 커밋과 푸쉬 작업.
Source부분의 None셀렉트 박스에서 아까 커밋한 master branch / docs folder를 선택해준다.
그러면 깃허브 페이지 셋팅 완료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Permission to ~ denied to 기존 아이디 해결방법 (windows 자격 증명) (0) | 2020.05.20 |
---|
댓글